연구원소개

HOME> 연구원소개 > 국제협력 > 국제기구참여
아이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3E 즉, 에너지안보(Energy Security), 경제개발(Economic Growth), 환경(Environment) 보호를 위한 합리적 에너지방안 개발을 위한 다자간협력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한국의 에너지 분야에서의 세계적인 지위확보에 일조를 하고 있습니다.

다자간협력기구 활동 현황

  •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유엔기후변화협약

    지구온난화 대응을 위해 1992년에 설립되었으며, SUBSTA(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 SBI(이행부속기구 회의), COP(당사국총회) 에서 주요 회의 및 의결이 이루어짐

  • CTCN(Climate Technology Centre & Network)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

    2013년 설립.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 기술 이전을 위한 UNFCCC 산하 기술메커니즘 이행기구

  • Mission Innovation미션이노베이션

    2015년 UNFCCC 제21차 당사국총회(COP21) 에서 청정에너지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위한 혁신미션(Mission Innocation) 선언

  • RD20(Research and Development 20 for Clean Energy Technologies) G20 청정에너지기술 R&D 회의

    G20 국가의 에너지 전환 촉진 및 에너지기술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 국가별 대표 에너지기술연구기관이 모여 경험과 상호 국제협력 방안 모색하기 위해 G20 에너지장관회의에서 2019년 설립

  • World Bank세계은행

    PASET (Partnership for Skills in Applied Sciences, Engineering and Technology) 아프리카 과학기술인력 양성 프로그램
    - 세계은행 : 1945년 설립
    - 세계은행 PASET : 2013년 설립

  • CSLF이산화탄소회수저장리더십포럼

    Carbon Sequestration Leadership Forum
    2003년 설립, 이산화탄소 처리기술 개발 국가간 협력체제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지적 활동이나 과학ㆍ기술ㆍ경제활동 분야에서 세계 상호간의 협력을 위해 1946년에 설립

  •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는 1906년에 설립된 국제전기표준회의이며, 1947년 ISO(국제표준화기구)가 발족됨에 따라 ISO의 전기부문으로 가입되었음
    현재 109개의 기술위원회(TC, Technical Committee)가 있으며, 현재까지 약 2천개이상의 IEC 국제규격을 제정

  •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간 상호 정책조정 및 협력을 통해 세계경제의 공동 발전 및 성장과 인류의 복지 증진을 도모하는 정부 간 정책연구 협력기구

  • IPHE(International Partnership for the Hydrogen Economy) 수소경제 국제파트너십

    수소에너지 개발을 위해 미국 주도로 2003년에 설립된 국제 파트너십으로 우리나라를 포함 전 세계 19개국과 EC가 참여

  • ESIG(Energy Systems Integration Group) 에너지시스템통합그룹

    미국 신재생에너지연구소 NREL 주도로 2018년에 설립한 에너지시스템통합 기술 분야 비영리국제기구로서 전세계 156개 기관이 참여

IEA 에너지연구기술위원회 CERT(Committee on Energy Research and Technology) 활동현황

국제에너지기구(IEA) 회원국의 고위 전문가들로 구성된 에너지연구기술위원회(CERT)는 에너지 보안 개선, 환경보호 장려,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기술과 정책을 수립한다. CERT는 IEA 이사회의 지침에 따라 IEA 사무국의 기술 예측, 분석 및 RDD&D (Research, Development, Demonstration and Deployment, 연구, 개발, 실증 및 배치) 전략을 감독한다.

IEA는 4개의 실무위원회(Working Party) 산하에 36개 기술협력프로그램(TCP, Technology Collaboration Program) 을 운영하여, 국제에너지기술 RDD&D 관련 각국의 공공-민간 기관 전문가들이 자율적으로 다자간 지식 및 자원을 공유하여, 전세계 에너지기술을 발전시킨다.
- EUWP(에너지최종이용(에너지절약)) : 14개 TCP
- WPFF(화석연료) : 5개 TCP
- REWP(재생에너지) : 9개 TCP
- FPCC(핵융합기술조정) : 8개 TCP

IEA Programme 활동현황 : 프로그램명, 비고 정보
실무위원회 (Working Party) 기술협력프로그램
(TCP, Technology Collaboration Program)
활동내용 비고
에너지최종이용(에너지절약)기술
실무위원회 EUWP(Working Party
on Energy
End-Use Technologies)
에너지절약 및 저장 ECES (Energy Conservation and Energy Storage) TCP 집행위원회(ExCo Meeting), 2018년 11월 한국 제주도에서 개최
Annex 36 초임계CO2 활용 Carnot Battery 국제공동연구프로그램
1978년 설립
연료전지 Advanced Fuel Cells (AFC) TCP

Annex 30 수전해기술 및 Annex 31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기술 에 참여

1979년 설립
지역냉난방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DHC) TCP Annex TS4 : Digitalisation of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지역냉난방 디지털화국제공동연구(2018-2024) 프로젝트(운영기관: 프라운호퍼 IEE) 1983년 설립
재생에너지기술 실무위원회 REWP(Working
Party on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바이오에너지 Bioenergy TCP 집행위원회(ExCo Meeting)
Task 37 Meeting (Energy from Biogas)
Task 39 Meeting (Commercializing Conventional and Advanced Transport Biofuels from Biomass and Other Renewable Feedstocks)
1978년 설립
태양열발전시스템 SolarPACES (Concentrating Solar Power) TCP 집행위원회(ExCo Meeting), 제25회 SolarPACES 컨퍼런스 2019 한국 대구에서 개최(2019.10) 1977년 설립
태양광발전시스템 PVPS (Photovoltaic Power Systems) TCP Task 12(Sustainability) 1993년 설립
풍력 Wind TCP Task 27 Meeting (Small Wind Turbines in High Turbulaence Sites),
Task 41 Meeting (Enabling Wind to Contribute to a Distributed Energy Future)
1977년 설립

IEC 활동

IEC 활동
기술위원회 (TC, Technical Committee) TC 소개 참여 Working Group
이차전지 및 배터리기술위원회 IEC TC 21 Secondary cells and batteries 이차 전지 및 배터리의 제품(치수 및 성능), 안전성(표시 및 라벨링 포함), 테스트 및 안전 애플리케이션(설치, 유지보수, 작동)과 관련된 표준을 유형, 애플리케이션, 구성(하이브리드, 독립형, 모듈)에 관계없이 제공 WG2(태양광 모듈)
JWG3 (Traction and stationary batteries)
JWG7 (Flow Battery Systems for Stationary applications)
태양광기술위원회 IEC TC 82 Solar photovoltaic energy systems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시스템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모든 요소에 대한 국제 표준 마련 WG2(태양광 모듈)
WG3(태양광시스템)
WG6(주변기기 Balance of System)
WG8(태양전지)
풍력발전시스템기술위원회 IEC TC 88 Wind energy generation systems 풍력터빈, 육해상 풍력발전소 및 전기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풍력 발전시스템 분야의 표준화 MT 3-2 (Design requirements for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s)
MT 23 (Full-scale structural testing of rotor blades)
PT 61400-50-3 (Wind energy generation systems - Part 50-3: Use of nacelle mounted lidars for wind measurements)
WG26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for wind turbines and wind turbine plants)
연료전지기술위원회 IEC TC 105 Fuelcell technologies 14개 Working Group 에서 공통, 고정형, 수송용, 이동형 으로 세분하여, 국제 표준안 제안
EES시스템기술위원회 TC 120 Electrical Energy Storage (EES) Systems 전기에너지저장(EES)시스템

ISO 활동

ISO 활동
기술위원회 (TC, Technical Committee) TC 소개 참여 Working Group
금속기계시험위원회 ISO TC 164 Mechanical testing of metals 금속 소재의 특성 결정에 사용되는 장비의 검증 및 교정을 포함한 기계적 시험 방법의 표준화 SC3(Hardness testing) WG4 (instrumented indentation (nano- indentation 포함)
수소기술위원회 ISO TC 197 Hydrogen technologies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측정 및 사용을 위한 시스템 및 장치 분야의 표준화를 위한 기술위원회


담당부서 글로벌전략실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맨위로 이동

부패·공익신고 보호안내

  • 신고내용은 철저히 보호되며, 부패·공익신고에 해당될 경우 공익신고자 보호법 등 관련법에 따라 신고인은 보호·지원됨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