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View more
Net Zero #2050 Scroll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2050년 탄소중립이 실현되었을때 우리나라의 미래상과
부문별 전환내용을 전망하는 것으로서
전환,산업 등 부문별 정책 방향과
정책 속도를 가늠하는 나침반 이 됩니다.

VISION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사회

Principle - 1.책임성, 2.포용성, 3.공정성, 4.합리성, 5.혁신성
01 책임성의 원칙

사회구성원 전체가 지구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참여

02 포용성의 원칙

미래세대와 인류 외 다른 생물종까지 배려

03 공정성의 원칙

취약 집단을 보호하고 소외된 자 없이 모두의 참여를 보장

04 합리성의 원칙

객관적인 자료에 바탕을 둔 실현가능성 높은 미래상 도출

05 혁신성의 원칙

과학기술과 제도의 혁신을 통한 미래성장동력 발굴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가 만들어지기까지

  • 2015.06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최초 수립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BAU) 대비 37% 감축 목표 수립

  • 2018.07 NDC 로드맵 조정

    국내감축 규모 확대(25.7%-32.5%)하고 해외감축량 축소 조정

  • 2020.10 2050 탄소중립 선언
  • 2021.04 NDC 상향계획 국제사회 발표

    2050년 탄소중립 선언의 후속조치

  • 2021.10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확정

    탄소중립기본법 국회 통과 & 탄소중립 시나리오 국무회의 통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종합
국내 순배출량을 0으로 하는 2개 시나리오로 구성

IPCC 1.5℃ 특별보고서(’18)를 토대로 모든 국가가 2050년 탄소중립을 추진한다는 전제하에 국외 감축분이 없는 2050년을 가정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전 지구적으로 2050년 탄소중립 필요성 제시

  • A안

    화력발전 전면 중단 등

    배출 자체를 최대한
    줄이는 시나리오
  • B안

    화력발전이 잔존하는 대신

    CCUS 등 제거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시나리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요약

  • 산업 부문
    • 철강 공정에서의 수소환원제철 방식을 도입
    • 시멘트·석유·화학·정유 과정에 투입되는 화석 연·원료를 재생 연·원료로 전환
  • 건물/수송 부문
    • 건축물의 에너지효율을 향상(제로에너지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등)
    • 무공해차 보급을 최소 85% 이상으로 확대
    • 대중교통 및 개인 모빌리티 이용을 확대
    • 친환경 해운으로 전환
  • 농축수산 부문
    • 화학비료 저감, 영농법 개선, 저탄소‧무탄소 어선 보급 등을 통해 농경지와 수산업 현장에서의 온실가스 발생을 최소화
    • 가축 분뇨 자원순환 등을 통해 저탄소 가축 관리
  • 기타
    • 폐기물 감량, 청정에너지원으로 수전해수소(그린수소) 활용 확대
    • 산림·해양·하천 등 흡수원 조성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활용(CCUS) 기술 상용화 등

전환

배출량 변화(백만톤CO2eq)
(‘18년) 269.6 → (‘50년) A안 0 (△100%) B안 20.7 (△92.3%)
감축수단(공통)
화력발전 대폭 축소 및 재생에너지·수소기반 발전 확대
  • 탄소중립 시대의 주력 에너지원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재생에너지
  • 특히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재편
  • 산업,수송,냉난방을 위해 사용하는 에너지도 가능한 한 전기로 대체됨.
  • A안 화력발전 전면 중단으로 전환부문배출량 제로化
    • 산단 및 가정·공공 열 공급용 LNG는 유지
      (산업, 건물부문에서 각각 배출량 포함)
    • 태양광, 풍력등 재생에너지 비율 70.8%
  • B안 화력발전 일부 유지(LNG)하여 배출잔존
    • 석탄발전 중단, LNG 발전은 유연성 전원으로 활용
    • 2050년 20.7백만톤의 온실가스 배출
    •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율 60.9%

산업

배출량 변화(백만톤CO2eq)
(‘18년) 260.5 → (‘50년) 51.1 (△80.4%)
감축수단(공통)
철강 - 배출량 95% 감축
  • 감축목표량 : ('18) 101.2백만 톤 배출 → ('50) 4.6백만 톤 배출
  • 탄소계 공정(고로+전로)을 수소환원제철로 100% 대체
  • 철스크랩 전기로 조강을 확대
시멘트 - 배출량 53% 감축
  • 감축목표량 : ('18) 34.1백만 톤 배출 → ('50) 16.1백만 톤 배출
  • 연료전환 : 고체화석연료(유연탄)을 폐합성수지 60%, 수소열원(바이오매스 연동) 40%로 총 100% 완전 대체
  • 원료전환 : 석회석→ 슬래그 등으로 전환하여 석회석 원료 대체율 12% 및 혼합재 비중 20%로 확대
석유화학·정유 - 배출량 73% 감축
  • 감축목표량 : ('18) 62.8백만 톤 배출 → ('50) 16.9백만 톤 배출
  • 연료전환 : 전기가열로, 바이오매스 보일러 교체로 기존 연료 57% 전환
  • 원료전환 : 바이오, 수소 원료를 활용하여 기존 납사 52% 전환
  • 폐플라스틱 발생량 500만톤 중 50%를 유화하여 플라스틱 원료로 재활용
기타 - 배출량 78% 감축
  • 감축목표량 : ('18) 62.4백만 톤 배출 → ('50) 13.5백만 톤 배출
  •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력 다소비 업종 에너지 효율화
  • 불소계 온실가스 저감 등

건물

배출량 변화(백만톤CO2eq)
(‘18년) 52.1 → (‘50년) 6.2 (△88.1%)
감축수단
에너지 효율향상
  • [신축]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 100% 및 [기존]그린리모델링 에너지효율등급 가정 1++
  • 상업 1+ 100% 달성
  • 2018년 대비 냉·난방 에너지 사용 원단위 30% 이상 개선
고효율기기 보급
  • 에너지소비효율 강화 및 표시제도 확대
  • 에너지설비 및 기기 에너지 사용 원단위 개선
  • 약 30% 에너지 절감
스마트에너지 관리
  • 에너지 이용 최적제어 통합 관리시스템 보급 확대
  • 에너지 2~5% 절감
저탄소·청정에너지 보급
  • 냉·난방 및 급탕 시 신재생에너지(태양광, 지열, 수열 등) 사용 비중을 확대
  • 지역난방에 연료전지, 발전소 폐열 등 청정열 적극 활용 및 저온 지역난방 확대
행태개선
  • 기후환경비용 반영, 국민의 자발적 동참 등을 통한 에너지수요 추가 감축
청정에너지 확대
  • 냉·난방 및 급탕 시 신재생에너지(태양열, 지열, 수열 등) 보급 확대 ⇒ 2.9백만톤 감축
저탄소 에너지 활용
  • 지역난방에 폐열, 미활용열 등 이용(고효율 히트펌프 등 적용), 잔여 화석연료 전기 대체 ⇒ 15.0백만톤 감축
    • 연료전지, 발전소 폐열 등 청정열을 활용한 지역난방 공급량 확대
    • 잔여 화석연료는 사용 편리성 및 저탄소 전력 생산 등을 고려하여 전기로 대체하되, 도시가스(LNG)는 에너지 공급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가정부문 최종 수요량의 50% 잔존(2.9백만TOE)

수송

배출량 변화(백만톤CO2eq)
(‘18년) 98.1 → (‘50년) A안 2.8 (△97.1%) B안 9.2 (△90.6%)
감축수단(공통)
수요관리 강화
  • 대중교통 및 개인 모빌리티 이용 확대(자전거, 킥보드 등) 및 공유차량 확대
  • 화물 운송수단 전환(도로→철도·해운)
  • 승용차 통행량 15% 감축
무공해차 보급 확대
  • 내연 기관차를 운행단계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전기 • 수소차 등 무 공해차로 전환
친환경 철도 전환
  • 남아있는 디젤철도차량을 무탄소 동력(전기·수소) 철도로 100% 전환
친환경 해운·항공 전환
  • 바이오연료 확대 및 친환경 선박‧항공기 전환
  • A안 도로 부문 전면 전기·수소화(97% 이상) 추진
    • 무공해 차량을 중심으로 탄소중립 실현방안 제시
    • 전기차 80% 이상, 수소차 등 대안 17% 이상
    • 온실가스 배출량 1.0백만톤
  • B안 전체 차량의 85%이상 무공해차로 전환
    • 일부 잔존하는 내연기관차는(15% 미만) 대체연료 (E-fuel 등) 활용 가정
    • 전기‧수소차 85% 이상 보급, 잔여차량 E-fuel 등 대체연료 활용
    • 온실가스 배출량 7.4백만톤

농축수산

배출량 변화(백만톤CO2eq)
(‘18년) 24.7 → (‘50년) 15.4 (△37.7%)
감축수단
농축산 에너지 전환
  •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고효율에너지 설비 보급, 농기계 전기·수소 전환 등 반영 산출
연료 전환 등
  • 어선 및 농기계 연료의 전기‧수소화, 고효율 에너지 설비 보급,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등 추진
영농법 개선
  • 화학비료 저감, 친환경 농법 시행 확대 등 영농법 개선을 통해 농경지 메탄·아산화질소 발생 억제
가축 관리
  • 가축분뇨 자원순환 확대 및 저탄소 가축관리시스템 구축 등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식생활 전환
  • 사회구조 변화, 대체가공식품(배양육, 식물성분 고기, 곤충원료 등) 기술 개발 및 이용확대 등으로 인한 식단 변화 고려
생산성 향상
  • 주요 축종(한·육우, 젖소, 돼지, 닭) 대상 스마트축사 보급을 중심으로 디지털 축산 경영을 통한 가축 정밀 사육, 폐사율 감소 등 생산성 향상 ⇒ 815천톤 감축
대체 가공식품 증가
  • 대체 가공식품(배양육, 식물 성분 고기, 곤충 원료 대체) 확대 ⇒ 318천톤 감축

폐기물

배출량 변화(백만톤CO2eq)
(‘18년) 17.1 → (‘50년) 4.4 (△74.3%)
감축수단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 1회용품 사용제한, 음식물쓰레기 감축,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 등
  •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폐기물의 소각‧매립량 최소화
바이오 플라스틱
  • 소재개발 및 제도개선 등으로 생활 및 사업장 플라스틱의 47%를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대체
바이오가스의 에너지 활용
  • 매립지 및 생물학적 처리시설에서 메탄가스를 회수하여 에너지로 활용
매립지 준호기성 운영 강화
  • 침출수 배수 시스템, 공기 송입관 설비 등으로 매립지를 준호기성 상태로 유지하여 메탄 발생 최소화
  • 폐기물 감량률 및 재활용률
    폐기물 감량률 및 재활용률 표 - 구분, 감량률, 재활용률로 구성
    구분 감량률 재활용률
    생활 폐기물 ‘50년 기준전망 대비 25% ‘18년 62% → ’50년 90%
    사업장 폐기물 ‘18년 82% → ’50년 94%
    지정 폐기물 ‘18년 66% → ’50년 70%

수소

배출량 변화(백만톤CO2eq)
(‘18년) 0 → (‘50년) A안 0 B안 9.0
수소공급방식
전망
  • 청정에너지원으로서 수소수요 향후 27.4~27.9백만톤H2까지 증가 예상
  • A안 국내 생산 수소를 100% 수전해
    수소(그린 수소)로 공급
  • B안 국내 생산 수소 일부를 추출 수소 또는
    부생 수소로 공급
수전해 수소(그린수소) 공급기반 강화
  • 핵심 소재 및 시스템 기술개발로 수전해 효율과 안정성 개선 (재생에너지 출력변동 대비)
  • 그린 수소 인센티브 제도 마련
  • (국내 재생에너지 여건이 불리할 경우) 해외에서 국내 재생에너지 기술과 수전해 기술을 패키지화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도입하는 공급망 구축
수소산업 생태계의 균형적 육성
  • 현재 수소 이용기술(수송용·발전용) 초점 정책을 탈피하여, 기타 이용기술(수소터빈 등), 생산기술, 액화·전환(암모니아)기술, 수송·저장기술 등 확장 시도
  • 관련기술 표준화 추진하여 수소산업 생태계 조기 육성
  • 안전규격 마련으로 수소시설의 안정성과 주민의 수용성 확보

탈루

흡수량(백만톤CO2eq)
(‘18년) 5.6 → (‘50년) A안 0.5 B안 1.3
확보 수단
  • 탈루는 천연가스 사용 시 발생하는 기타 누출이 대부분으로, 부문별 천연가스 소비 전망을 토대로 0.5(A안)~1.3(B안)백만톤으로 추정

흡수원

흡수량(백만톤CO2eq)
(‘18년) 41.3 → (‘50년) -25.3 (△38.7%)

현 산림의 상태와 목재생산 계획을 반영할 경우,
2050년에는 현재 탄소 흡수량의 약 30% 수준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됨

확보 수단
흡수능력 강화
  • 숲가꾸기 등 산림순환경영 강화, 생태복원, 재해피해 방지를 통한 흡수원 보전 등
고부가가치 목재이용
  • 유휴 토지 조림, 도시숲 가꾸기 등 신규조림 확대
바이오가스의 에너지 활용
  • 목재의 건축자재로 장수명 재료* 이용등 목재 이용을 통한 탄소저장고 확대
해양 및 기타
  • 연안 및 내륙습지 신규 조성, 바다숲 조성, 하천수변구역, 댐 홍수터 활용(식생복원), 초지 면적 확대 및 관리등급 개선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CCUS)

흡수량(백만톤CO2eq)
(‘18년) 0 → (‘50년) A안 -55.1 (△97.1%) B안 -84.6

최대처리가능량은 두 안 모두 85.2백만톤으로 동일하나, 타 부문 배출량에 따라 필요량 산정

확보 수단
(포집 및 저장(CCS))
  • 국내외 해양 지층 등을 활용하여 최대 60백만톤 저장
(포집 및 활용(CCU))
  • 광물 탄산화, 화학적 전환, 생물학적 전환, 등을 통해 최대 25.2백만톤 처리

직접 공기 포집(DAC)

흡수량(백만톤CO2eq)
(‘18년) 0 → (‘50년) B안 -7.4
  • A안 없음
  • B안 E-fuel 제조를 위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7.4백만톤 포집(B안)
    포집한 이산화탄소는 50년 잔존 내연기관차량의 연료로 활용
Scroll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우리나라의 존립을 위한 최종 목표이자
우리가 올바른 길로 나아가고 있는지
알려주는 나침반입니다.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다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