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bon Neutrality Policy Tracker
「2050 국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오늘의 발자취, 내일의 발걸음을 살펴봅니다.
2020년 10월 '2050 탄소중립 선언' 에 이어 수립 및 추진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정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술적 대응 방안을 모색합니다.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비전
- 온실가스 감축 중심의 “적응적(Adaptive) 감축”에서 새로운 경제‧사회 발전전략 수립을 통해 “능동적(Proactive) 대응” 도모
-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한 新경제·사회구조 시스템 구축
2. 3+1 전략
- 적응 :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인 발전·산업·건물·수송 분야에 대한 온실가스 조기 감축 유도
- 기회 : 탄소중립 패러다임에 맞게 기존 혁신 생태계를 점검 보완, 저탄소산업 육성 체계 구축
- 공정 : 전 국민적 공감대를 토대로 지역·민간 등이 주도하는 Bottom-up 방식 추진
- 기반 : 재정제도 개선 및 기술개발 확충 등을 통해 탄소가격 시그널 강화 및 효과적인 탄소감축 이행 지원
비전·정책방향·10대 과제
2050 탄소중립 산림부분 추진전략 발표
- 보도자료 보러가기
요약
1. 탄소중립 목표
- 산림 부문에서 2050 국가 탄소중립 목표 중 흡수량 2,360만톤(tCO2)을 기여
- 에너지(전환) 부문에 산림바이오매스 300만톤(ton)이 활용.
2. 산림의 탄소흡수능력 강화
- 탄소흡수능력과 생태계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종자ㆍ묘목 생산
- 경제림육성단지와 목재생산림을 중심으로 산림순환경영을 활성화
3.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 유휴토지에 숲을 조성하거나 도시숲을 늘려가는 등 신규 조림을 확대
- 북한 산림복구 사업과 국제산림협력을 통해 신규 탄소흡수원을 확충
4.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의 이용 활성화
- 부가가치가 높은 국산목재의 이용을 확대해 탄소저장ㆍ대체 효과를 증진
- 재생에너지원인 산림바이오매스는 소규모ㆍ분산형 공급체계를 점진적으로 구축
5. 산림탄소흡수원 보전·복원
- 산림보호지역을 확대하고 핵심 산림생태축의 복원사업을 추진해 탄소흡수원을 보전
- 산지전용과 산불ㆍ산사태ㆍ병해충 등 재해 피해를 최소화하여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
6. 추진기반 강화
- 산림탄소 통계 산정(MRV)고도화 및 산림생태계 조사에 학제 간 공동연구 추진
- ’22년부터는 ‘산림부문 탄소중립 추진기반 및 실증기술 연구’에 70억을 투입
국내·외 산림탄소 흡수원 확충 공간 개념도
비전·목표·실행전략
2021 환경부 탄소중립 이행계획 발표
요약
1.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 수상태양광·수열에너지·해상풍력 등 환경자원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중·장기 로드맵 수립
- 산업구조 탈탄소화를 위해 ①배출권거래제 대상기업 지원확대, ②목표관리제·통합허가제 활용, ③2050 배출권거래제 혁신 로드맵 수립
- 무공해차 30만대 보급, 편리한 충전인프라 구축, 내연기관차 감축 및 ’50년 수송부문 탄소중립 전략 마련
- 탄소중립형 모델도시 조성을 위한 융복합 사업추진, 공공기관(공공건물 등)의 선제적인 탄소중립 실현
- 보호지역‧도심‧수변 등 탄소흡수원 확대 및 ’50년 ‘자연·생태기반 온실가스 감축·적응전략’ 마련
- 폐기물 全과정 관리 강화 및 2050 순환경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로드맵 마련
- 저탄소 농업기반 구축, 가축분뇨 활용 친환경 에너지 생산 확대, 음식물 쓰레기 감량 추진
2. 新유망 저탄소 산업·기술 생태계 조성
- 녹색산업 유망분야 집중 육성을 위한 지원 강화 및 육성 전략 수립, 친환경·저탄소 녹색 전환기업의 연착륙 지원
- 녹색전환 기반 구축 및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산업 유망분야 육성 방안 마련
- 녹색 기술에 대한 전 주기지원 강화 및 녹색 유망기술 상용화 로드맵 수립
3. 기후위기 적응 및 공정 전환
- 과학적 기후변화 예측‧분석 기반 마련, 홍수·가뭄 등에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
-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 강화, 지역·계층별 맞춤형 대책 추진
- 지역사회 탄소중립 이행 및 지원방안 마련, 지자체의 기후 적응 시스템 구축 지원
녹색 유망기술 R&D 수립 체계
비전·정책방향·12대 과제
2050 탄소중립 연구개발 투자전략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정부, 마중물과 자양분 역할
- 국내 기술역량 확보가 꼭 필요한 분야를 중심으로 민간의 마중물 및 미래의 자양분 역할에 역점
- 국내 수요 면에서 경제성이 부족한 분야는 R&D보다 선진국과 기술도입 및 협력 모색
- 단기 : 기술경쟁력, 탄소감축 효과 면에서 유망하고 기술의 개발~상용화까지 성공 경험 축적이 가능한 분야 우선 지원
- 중장기 : 민간이 나서기 어려운 한계돌파형 기술(차세대 태양전지, CCUS 등) 및 기초기술 역량 확충
2. 민간주도 환경 조성
- 탄소중립 기술로드맵, R&D 사업 기획 등 탄소중립 기술혁신 정책 전 과정에 산업계 적극 참여 기반 마련
- 기업의 탄소중립 기술개발 세제 혜택, 개발기술 실증규제 개선, 공공조달을 통한 시장진출 지원 등 강화
3. 선제적 대응
- 2021 환경부 탄소중립 이행계획 발표 내 新유망 저탄소 산업·기술 생태계 조성 내용으로 작성되어 있어 수정 필요
- ‘탄소중립 시나리오’ 수립(6월, 환경부) 전 ‘탄소중립 R&D 투자전략’ 및 범부처 ‘기술혁신 추진전략’ 수립
4. 점검 보완 발전
- ‘탄소중립 중장기 기술로드맵’ 등 탄소중립 기술혁신 정책의 청사진을 연내 완료
10대 핵심분야 및 세부분야 + 플랫폼
탄소중립 R&D 핵심 투자분야
2050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발표
- 보도자료 보러가기
요약
1. 탄소중립 기술혁신 10대 핵심기술 개발 전략
- 탄소중립에 핵심적 기여가 가능한 10대 핵심기술 전략적 개발
- ①태양광 및 풍력, ②수소, ③바이오에너지, ④철강·시멘트, ⑤석유화학, ⑥산업공정 고도화, ⑦수송 효율, ⑧건물 효율, ⑨디지털화, ⑩CCUS
2. 범부처 탄소중립 기술혁신 R&D사업 기획·착수
- 시급한 산업수요 기반 “현장특화 R&D”와 “중장기 혁신 원천R&D”의 2-Track으로 “全주기 함께 달리기” R&D 추진
- 대형 R&D 및 도전적 원천 기술 개발을 위한 10대 기술혁신 프로젝트 예타 추진
3. 新산업 창출로 이어지는 집중지원 체계 마련
- 출연(연) 100대 사업화 유망기술 지원 및 특구를 통한 신기술 실증 가속화
- 창업 지원→공공수요 구매연계→녹색 벤처·보증 등 탄소중립 기술 기업 全주기 성장지원 강화
4. 민간이 주체가 되는 저탄소화 기술혁신 촉진
- 상용화 촉진 인센티브 발굴 및 표준·인증, 기술규제 적기 마련
- 탄소중립 R&D 세액공제 확대 검토 및 기업참여 부담 완화방안 강구
5. 기술혁신이 지속되는 연구역량·기반 강화
- 탄소중립 전문인력 양성 강화 및 교육 전시 등을 통한 문화확산
- 기후기술개발촉진법, 기후대응기금 신설 등 안정적 추진기반 마련
탄소중립 기술혁신 10대 핵심기술별 기술목표 요약
비전·추진전략
2021년 에너지기술개발 실행계획(안)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그린뉴딜·탄소중립 핵심기술 집중 투자
- 차세대 태양전지, 건물형·도로형·농어촌형 태양광 등 고효율화·단가저감·신시장 창출에 집중투자
- 저비용·대용량 수소 생산·운반·저장 핵심기술개발,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활성화 등 기술개발 추진
- 산업 가전기기 에너지효율 향상, 미활용 에너지 활용 확대, 건물 에너지소비 최적화 등 추진
- 국민 생활 거점 중심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구축, 수소충전소 필수 장비 국산화 등 추진
2. R&D 투자체계 혁신
- 에너지공기업이 수요 기업으로 참여하는 ‘공기업 수요연계형 R&D’ 확대
- 기획, 평가, 수행, 종료 등 R&D 全과정에 걸쳐 안전관리 강화
3. 에너지산업 인프라 강화
-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지원을 통한 지역 중심의 에너지 新산업 육성 및 그린 뉴딜의 지역 확산 가속화
- 에너지신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에너지혁신기업 육성
- 그린뉴딜, 탄소중립 실현을 이끌어갈 전문인력 양성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新기술 확보, 수출유망 분야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글로벌 기술협력 강화
비전·목표·중점과제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물산업 혁신전략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탄소저감
- 공공부문에서 물 관련 신재생에너지(수열, 태양광, 바이오가스, 수소) 활성화 선도, 민간부문으로 확산
- 공공 건축물 수열에너지 시범적용(‘21~), 데이터센터 등 민간 건축물 수열에너지 보급 지원(‘22~’25), 강원도 수열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27년)
- 주민참여형 수상태양광 확대(~’30, 2.1GW), 물환경 기초시설 신재생에너지 개발, 정수장 소수력 발전을 활용한 수소 생산 시범사업 추진
2. 물산업 육성
- 디지털‧지역 특성에 맞는 물산업 육성 기반 구축
- 물산업 ‘혁신성장 공간’ 조성 추진(ex, 대전 대덕 정수장내 디지털 물산업 혁신센터 조성)
3. R&D 강화
- 물관리 인프라의 탄소중립 전환에 필요한 기술을 적기에 개발하도록 국가 R&D 신속 추진, 기술 개발 투자 확대
4. 제도개선
- 물기술 검증제도 도입, 물산업 정의 및 분류기준이 불명확하여 물산업 분류체계 개선 및 관리 방안 마련
5. 기대효과
- 공공부문 주도의 ‘2050 탄소중립’ 노력을 통해 민간부문 참여 유도, 물산업 발전을 통한 일자리 창출
비전·전략·세부과제
CCU 기술혁신 로드맵(안)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핵심기술 확보 전략
- 산업공정에 CO2포집기술을 적용·고도화하는 중규모 실증 추진 후 패키지화 기술 확보
- CO2 화학전환분야 기술간 융합으로 경제성 도모 및 CO2 수소화 핵심기술 개발
- 고효율 바이오매스 생물전환 기술 확보로 대량생산·회수 시스템 효율화
- 수요·활용 산업을 연계한 대규모 기술 실증으로 CO2 광물탄산화 상용화 추진
- 고순도·고효율 탄소 분리·정제기술 우선 확보 후, 부생·바이오가스 혁신 활용기술 개발
2. R&D 투자 촉진
- ‘대규모 CCUS 통합실증 지원사업’ 등 범부처 공동기획 및 중장기 R&D 지속 투자
- 최근 정체 상태인 CCU분야 R&D 투자 확대 및 후속연구와 연계 강화
- 실증 R&D 확대 지원 및 중규모 테스트배드 구축을 통한 기술 상용화 촉진
- R&D 실증・사업화 지원 플랫폼 구축 및 기업 R&D 투자・참여 부담 완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3. 제도적 기반 마련
- CCU 감축량 산정기준 마련
- 온실가스 배출권 연계 CCU 사업지원
- CCU 기술(제품)에 대한 표준・인증 체계 구축
- 이산화탄소의 경제적 활용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4. 실효적인 이행체계 구축
- ’CCU R&D 산・학・연 전략협의체‘를 구성하여 민·관 협업 활성화
- CCU 이행주체 확대 등 CCUS 총괄협의회 이행력 강화
- CCU 국제협력 기반 강화를 통하여 선도국과 기술협력 활성화 및 해외시장 진출 적극 추진
- 선진국·개도국 맞춤형 기술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혁신기술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
CCU 기술 기반 탄소순환 미래사회
비전·추진전략·10대 과제
2030 이차전지 산업 발전 전략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차세대 이차전지 1등 기술력 확보를 위한 대규모 R&D 추진
- 전고체(‘27년)·리튬황(’25년)·리튬금속(‘28년) 등 차세대 이차전지 조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 추진
- 수요-공급기업 연계 및 산학연 협력을 토대로 요소 기술 개발을 추진,
- 현재 사용 중인 리튬이온전지의 고성능·고안전·생산성 제고를 위한 초격차 기술력 확보
2. 글로벌 선도기지 구축을 위한 연대와 협력의 생태계 조성
- 안정적 공급망을 위해 원재료 확보와 소재 생산능력 강화
- 이차전지 핵심요소인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성장과 기술력 확보를 위한 지원을 대폭 강화
- 설계·고도분석 인력양성 확대, 기초 응용+특화, 기술애로 해결 교육 등 이차전지 인력 연간 1,100명+α 양성
- 국가핵심기술* 관리 효율화, 전주기 탄소배출기준 마련 등 제도적 기반 강화
3. 이차전지 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수요시장 창출
- 회수체계 마련과 산업화 센터 구축으로 ‘사용후 이차전지 시장’ 활성화
- 공공수요 확대 및 항공·선박·기계 등 민간 신시장 창출 지원으로 수요기반 확대
- 이차전지 관련 서비스산업 발굴·육성으로 배터리 신산업 창출
비전·추진전략·10대 과제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국내·외 청정수도 생산 주도
- 수전해 스택 기술 확보로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기반 구축
- CCS 상용화 일정에 맞춰 탄소저장소 확보, 블루수소 생산 체계 구축
- 수소 생산국과 전략적 협력으로 해외 수소자원을 안정적 확보
2. 빈틈없는 인프라 구축
- 수소 생산·도입 인프라를 갖춘 수소항만 구축
- 수소 생산·도입 지역을 거점으로 수소배관망 구축 확대
- 수소차 보급 초기 공공주도로 충전소 권역별 균형 배치, 성숙기에는 민간주도로 확산
3. 모든 일상에서의 수소 활용
- 연료전지 발전설비 보급 확대 및 석탄발전 암모니아 혼소, 수소 전소 가스터빈 상용화
- 수소차 전 차종에 대한 생산능력 확보 후 다양한 모빌리티로 적용 확대
-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 대상으로 수소기반 공정전환과 화석연료·원료대체 우선 추진
4. 생태계 기반 강화
- 범부처 합동 대형 R&D 추진, 수소특화 인재육성 거점 조성
- 안전기준 마련, 법령정비와 안전기준 의견수렴 채널 운영으로 안전규제 효율화
- 한국 주도의 글로벌 수소 이니셔티브 구축, 국내 수소 주요기업 연합체 활성화
- 수소전문기업 집중지원 및 대규모 투자 촉진을 위한 수소경제 활성화 펀드 조성
수소경제 이정표
비전·전략·15대 과제
‘K-ESG 가이드라인’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추진 배경
- ESG 규율 강화, 기업 평가와 투자기준, 공급망 실사 등 기업의 ESG 경영 필요성 급증
- 국․내외 평가지표는 평가기관의 기준과 결과도출 방식에 대한 정보를 대부분 공개하지 않고 있음
- 기업이 ESG 경영을 준비하고 평가에 대응하기 위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상황.
2. 제작 목표
- 기업의 ESG 경영 방향과 주요 평가 요소를 우선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둠
-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우리 기업이 글로벌 기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함
3. 제작 방법
- 국내외 주요 13개 평가기관(DJSI, MSCI, EcoVadis, Sustainalytics, WEF, GRI 등)의 3,000여개 이상의 지표와 측정항목을 분석
- 61개 ESG 이행과 평가의 공통적인 핵심 요소를 재구성
- 관계부처와 각 분야 전문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추가 반영
4. 구조 및 특징
- 국내 기업 및 ESG 평가기관에서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설계 구조
- 진단항목별 추가설명, 용어정리, 참고자료 등 최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
5. 향후 계획
- 글로벌 동향을 반영한 K-ESG 가이드라인 개정판을 1~2년 주기로 발간
- 업종별․기업 규모별 가이드라인도 22년부터 마련할 계획임.
- K-ESG 경영지원플랫폼을 통해 우리 산업의 ESG 항목별 데이터를 축적할 계획
가이드라인 주요 항목
에너지 탄소중립 혁신전략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청정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가속화
- ‘50년 석탄발전 중단 목표 달성하고 암모니아 혼‧전소, 수소터빈 등 혁신기술 활용 청정에너지원 확대
- 마이크로그리드 등 지역內분산화 거점 마련 및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 대국민 참여 에너지 소비 절감 유도 및 고효율기기 보급 가속화
2. 에너지 전환 촉진을 위한 기반 구축
- 전력계통 영향평가제도 도입 등 전력 수요의 지역적 편중 해소
- ESS 활용 기반 강화, 양수발전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 재생e 대상 실시간 보조서비스시장 등 전력시장제도 마련
- 탄소중립 투자를 촉진하는 요금제 개선과 저탄소 에너지원 활용 유도하는 가격체계 도입
3. 에너지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 지원
- 8大 분야 에너지 핵심기술 확보로 탄소중립 실현 촉진
- 향후 글로벌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수소, 재생e, CCUS, 에너지IT 등 4대 분야 중심 新산업 육성
- 중장기적으로 탄소가격 부과 체계 개편방안 검토
4. 원활한 탄소중립 이행 체계 강화
- 자원안보기본법 제정 및 한국형 자원안보 진단 이행 체계 마련
- 에너지전환지원법 , 정의로운전환 특구 등 관련 지원체계 구축
- 기후변화 협력 협정·FTA·약정, ESG 해외사업 연계로 국외감축 지원
2050 에너지 탄소중립 실현 이정표
비전·목표·전략·과제
탄소중립 산업 대전환 비전과 전략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산업구조 저탄소 전환
-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라 산업 부문 탄소 배출량의 80.4% 감축 추진
- 단기30년 장기50년 시계를 구분하여 단계별 저탄소 기술개발 추진
- 개별 기업이 아닌 국가 과제*로서 세제 금융 등 전폭 지원
- 탄소중립 신기술 적용을 막는 ‘낡은 규제’는 원칙적으로 폐지
2. 탄소중립 확산 생태계 구축
- 전력화(electrification) 확산에 대비해 에너지 효율개선 투자 강화
- 탄소가치가 인정받고 소비자에게 선택받는 시장 전환 가속화
- 탄소중립의 공급망 영향을 점검하며 ‘공급망 안심국가’ 실현
3. 탄소중립 기회 신산업 육성
- 바이오소재, 차세대 이차전지와 반도체 등 低탄소 소재‧부품‧장비의 친환경 제조 공급망 선점
- 친환경 공장 EPC와 CCUS 서비스를 활용한 그린 플랜트 구축으로 기술과 경험을 먹거리化
- 수소경제와 모빌리티 분야의 친환경 인프라 구축으로 대규모 산업투자 시장 선점
4. 함께 도약하는 정의로운 전환
- 중소 중견 맞춤전략 확보로 소외없는 전산업 탄소중립 실현
- 산업 변화 전망과 연계*하여 위기발생 전 선제적 종합지원 추진
- 산단 등 지역거점을 시작으로 초광역 탄소중립 생태계로 전환
5. 산업 탄소중립 전환 거버넌스 확립
- 안정적 산업전환 근거로서 탄소중립 산업전환 촉진 특별법 제정
-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탄소 장벽에 체계적 대응
비전·목표·전략·과제
중소벤처기업 탄소중립 대응 지원방안 발표
- 보도자료 보러가기
요약
1. 정책 목표
- 22년 탄소중립 예산 4,744억원을 투입하여 약 2,500개 중소기업을 지원
- 30년까지 中企고탄소 10개 업종 6.7만개 중소기업의 약 50% 저탄소화 지원 추진
- 25년까지 그린유니콘 1개, 예비유니콘 3개, 아기유니콘 10개 등 발굴·육성 추진
2. 고탄소 업종 중소기업의 저탄소 전환 지원
- 업종 내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저탄소 신기술 모범사례를 개발, 보급 확산
- 맞춤형 컨설팅을 포함한 저탄소 경영전환 지원 패키지 제공
- 공정혁신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및 저탄소 전환 지원
3. 그린분야 혁신 벤처‧스타트업 육성
- 그린 생태계 조성을 선도할 수 있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개사를 발굴
- 그린분야 혁신 생태계의 마중물이 될 그린뉴딜펀드를 지속 조성
- 그린 혁신기술 상용화를 위해 탄소중립 규제자유특구를 2025년까지 총 20개 기정
4. 중소기업 전반의 탄소중립 경영 확산 촉진
- 탄소중립 경영의 지역 확산을 위한 혁신거점(스마트 혁신지구) 구축
- 탄소중립 선도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는 녹색금융을 통한 탄소중립 공정전환 지원
5. 중소기업 탄소중립 지원 거버넌스 확립
- 중소기업 탄소중립의 체계적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 추진
비전·전략·세부과제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해양수산업 탄소배출 감축
- 2018년 406.2만 톤 → 2050년 42.2만 톤
- 해운분야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0.7만 톤(2018년 101.9만 톤)까지 감소
- 수산분야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1.5만 톤(2018년 304.2만 톤)까지 감소
- 2030년까지 저탄소 선박 기술을 고도화 및 무탄소 선박 기술을 상용화
2. 해양에너지
- 2018년 0 → 2050년 -229.7만 톤, 순감
- 파력, 조력발전 등 실증연구를 통해 상용화
- 해양에너지·해양바이오 기술과 결합한 수소 생산 기술도 고도화
3. 블루카본
- 2018년 0 → 2050년 - 136.2만 톤, 순흡수
- 갯벌 복원사업과 갯벌 식생복원사업으로 훼손된 갯벌과 갯벌식생 복원, 바다숲 조성
- 연안지역을 전면 재설계하는 ‘숨쉬는 해안뉴딜’도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
4. 항만 및 기타부문
- 항만시설물의 에너지 효율을 제고 및 신재생에너지 활용으로 2050년까지 탄소 중립항만을 구현
- ‘수소항만 조성방안’이행으로 항만을 수소경제 이행의 전진기지로 육성
-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해저 저장기술을 개발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미래상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 보도자료 보러가기
요약
1. 건물 탄소중립 성능개선
- 건물의 에너지성능을 측정‧기록한 데이터 기반으로 생애주기별 건물 관리체계를 구축
- 신축건물의 제로에너지화 및 기축건물의 그린리모델링 확산
- 공동주택은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를 조기적용(공공건축물 2023년, 민간건축물 2024년)
2. 교통 – 전기·수소차 보급 가속화와 대중교통 활성화
- 탄소감축 효과가 큰 사업용 차량50만대의 전기·수소차 전환과 대중교통 활성화
- 철도 수송분담률 확대 및 동력분산식 전기열차(EMU) 확산
- 바이오항공유 등 친환경 연료를 위한 저장·운반·급유 인프라를 구축
3. 국토·도시 – 계획수립-공간조성 탄소중립화
- 국토‧도시 구역 별로 배출‧흡수량을 시각화한 탄소배출 공간지도 구축
- 도시 수준의 종합적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탄소중립도시 조성 추진
4. 국외감축 = 국토교통 기술 국외감축 사업화
- 그린수소 기반의 대용량 대중교통시스템, 모듈형 LNG 인프라 기술 등 시범사업 발굴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
비전·추진과제·감축전략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 발표
- 보도자료 보러가기
요약
1. 저탄소 농업구조 전환
- 품목별 빅데이터 확보와 AI 모델 등 차세대 스마트팜 융합·원천기술 개발 및 스파트팜 혁신밸리 조성
- 토양, 수자원 등 농업환경 보전활동 강화로 친환경농업 면적을 ’50년까지 전체 경지면적 대비 30%로 확대
- 흙토람을 중심으로 토양양분 관련 정보 DB화 및 가축분 퇴비 등 비료 성분의 투입관리 지원
- 농경지의 경운최소화, 피복작물 식재 등 유기탄소의 유실 방지 및 바이오차 투입으로 탄소 저장능력 극대화
2. 온실가스 배출 저감
- 논물관리 및 용수관리 체계화로 농작물 생산과정 발생 온실가스 감축
- 토양검정을 토대로 한 과학적인 시비 처방 실시 및 적정 농약사용 지원
- 저메탄사료 개발, 조단백 표시·함량 기준 강화 등 저탄소 사양관리를 통해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
- 가축분뇨의 정화처리 비중 확대 및 바이오차·에너지화 등 비농업적 이용을 확대
3. 화석에너지 사용 축소 및 에너지 전환
- 시설원예 에너지 이용실태 DB 구축 등 시설농업 분야 에너지 이용 효율화 및 저탄소 에너지 이용 확대
- 유통시설에 탄소배출량 총량관리 추진 및 에너지관리시스템 보급 추진
- 내연기관 농기계의 전기농기계 전환 및 농기계 이용 에너지 전환
4. 재생에너지 확대
- 농촌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지속 확대 및 농업 시설 에너지전환으로 마을단위 에너지자립 구축
비전·목표·실행전략
임무지향적 탄소중립 R&D 추진방안(안) 수립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범부처 탄소중립 R&D 기획 가이드라인 마련
- 탄소중립 정책의 정합성에 맞춰, 기술 개발의 전 과정상 목표 시점 명확히 제시
- R&D 예산 투입 대비 탄소감축량, 성과물의 기술수명 등을 고려한 경제적·산업적 효과를 분석
- 국내 기업이 도입 의지를 표명한 기술 과제를 중심으로 지원
- 2030년 NDC 40%,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분야별 단·중·장기 기술 포트폴리오 구성
2. 전략적 탄소중립 R&D 투자 강화
- 각 부처의 R&D 전략 기반으로 중점기술 선정 후, 범부처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 수립
- 중점기술 및 전략로드맵을 바탕으로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탄소감축 기술에 우선 투자
- 신규 사업은 로드맵 상 중점기술 해당 여부 및 기존 사업과 유사‧중복, 탄소감축 효과 등을 포함하여 예산 배분·조정
- 원천‧응용기술개발 단계의 민간 투자 비율은 대기업 50%, 중견기업 30%, 중소기업 25% 부담을 원칙
3. 목표 중심의 탄소중립 R&D 평가 및 환류
- 탄소중립 주요 기술분야 별 특정평가(약 3년 주기)를 실시
- 평가결과를 탄소중립R&D 정책‧투자방향‧사업 조정 등에 반영
- 탄소중립기술특위는 국가 탄소중립 정책과 연계하여 국가 탄소중립 R&D의 기획부터 투자, 평가까지 전주기 관리
임무지향적 탄소중립 R&D 추진 방향
한국형(K)-순환경제 이행계획 수립
- 보도자료 보러가기
요약
1. 생산·유통단계 자원순환성 강화
-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을 석유계 혼합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전환을 유도
- 2050년까지 순수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대체를 촉진
- 플라스틱 제조업체에 대해 재생원료 사용 의무를 2023년부터 부과
- 특히 플라스틱 페트의 경우 2030년까지 30% 이상 재생원료 사용목표를 부여
- 제품의 지속가능한 설계(에코디자인) 적용을 강화
2. 전략적 탄소중립 R&D 투자 강화
- 화장품 소분(리필)매장 활성화, 맞춤형화장품 매장(‘21년, 10개소) 확산을 유도
- 지자체, 배달앱 업계, 음식점 등과 협업하여 다회용기 사용 배달문화 조성
3. 목표 중심의 탄소중립 R&D 평가 및 환류
- 의료폐기물인 폐지방, 폐치아를 활용한 의약품과 의료기기 생산 가능(‘폐기물관리법’ 개정안 국회 계류 중)
-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처리비중을 2020년 0.1%에서 2030년 10%까지 확대
- 주로 연료로 활용하는 열분해유를 석유·화학 공정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 음식물쓰레기의 바이오가스화 비율을 2019년 13%에서 2030년 52%까지 확대.
- 2022년부터는 원칙적으로 모든 제품에 대해 재제조를 허용.
- 순환자원 인정기준과 용도 제한을 완화하고 인정 절차도 간소화
- 순환경제 신기술·서비스 분야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추진
4. 안정적 처리체계 확립
- 생활폐기물을 반입하여 처리한 지자체가 반출한 지자체로부터 반입협력금을 징수
5. 순환경제 사회로 전환
-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서 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순환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
- 이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추진 배경
- 세계 주요국은 기준연도 대비 탄소중립(’50년)까지 균등 감축 수준으로 NDC 상향(’20~)
-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서 우리나라의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NDC 상향안 마련
2. 주요 내용
- ’18년 배출량(727.6백만톤) 대비 △40%(291백만톤) 감축 ⇒ ’30년 배출량: 436.6백만톤
- 「탄소중립기본법」의 입법 취지와 국제 동향, 국내 여건 등을 고려해 목표 설정
- NDC 상향안의 연평균 감축률(기준연도→목표연도)은 4.17%/년, 주요국 대비 도전적인 목표임
3. 부문별 감축목표 상향안
- (전환) (‘18년)269.6 → (’30년)192.7(△28.5%, 현 NDC) → (’30년)149.9백만톤(△44.4%, 상향안)
- (산업) (‘18년)260.5 → (’30년)243.8(△6.4%, 현 NDC) → (’30년)222.6백만톤(△14.5%, 상향안)
- (건물) (‘18년)52.1 → (’30년)41.9(△19.5%, 현 NDC) → (’30년)35.0백만톤(△32.8%, 상향안)
- (수송) (‘18년)98.1 → (’30년)70.6(△28.1%, 현 NDC) → (’30년)61.0백만톤(△37.8%, 상향안)
- (농축수산) (‘18년)24.7 → (’30년)19.4(△21.6%, 현 NDC) → (’30년)18.0백만톤(△27.1%, 상향안)
- (폐기물) (‘18년)17.1 → (’30년)11.0(△35.6%, 현 NDC) → (’30년)9.1백만톤(△46.8%, 상향안)
- (수소) (’30년)7.6백만톤
- (흡수원) (‘18년)-41.3 → (’30년)-22.1(현 NDC) → (’30년)-26.7백만톤(상향안)
- (CCUS) (’30년)-10.3백만톤
- (국외 감축) (’30년)-16.2(현 NDC) → (’30년)-33.5백만톤(상향안)
주요내용
주요내용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개념
- 탄소중립이 실현되었을 때의 미래상과 부문별 전환내용을 전망한 것
- 부문별 세부 정책 방향과 전환 속도 등을 가늠하는 나침반 역할
2. 비전 및 원칙
- (비전)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사회”
- (책임성의 원칙) 사회구성원 전체가 지구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참여
- (포용성의 원칙) 미래세대와 인류 외 다른 생물종까지 배려
- (공정성의 원칙) 취약 집단을 보호하고 소외된 자 없이 모두의 참여를 보장
- (합리성의 원칙) 객관적인 자료에 바탕을 둔 실현가능성 높은 미래상 도출
- (혁신성의 원칙) 과학기술과 제도의 혁신을 통한 미래성장동력 발굴
3. 시나리오 구성
- 국내 순배출량을 0으로 하는 2개 시나리오로 구성
- (A안) 화력발전 전면 중단 등 배출 자체를 최대한 줄이는 시나리오
- (B안) 화력발전이 잔존하는 대신 CCUS 등 제거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시나리오
4.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경제적 영향
- 2050년 GDP는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 않았을 때 대비 0.57%~2.42%가량 감소 예측
- 2050년 일자리 전망은 0.26~1.0% 증가 예측(탄소가격 부과에 따른 정부 수입을 고용부분에 전량 투자시)
-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 피해(2020년부터 2100년 누적분)는 탄소중립 정책 추진시 1,667조원으로 47% 감소 예측
주요내용
주요내용
에너지정책 정상화를 위한 5대 정책방향 발표
요약
1. 기본방향
- 원전과 신재생에너지의 합리적 조화, 공급확대 위주에서 수요정책 강화, 에너지 시장 기능 정상화
- 이를 위한 5대 중점과제 제시
2. 과제 1 :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과 에너지 믹스
- 국제적으로 약속한 탄소중립 목표는 존중하되, 실행방안은 원전 활용 등을 통해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보완
-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원전의 계속 운전 및 이용률 조정 등을 통해 2030년 원전발전 비중을 상향
- 재생에너지는 주민수용성, 경제성,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생태계 등을 고려하여 보급 지속 추진
3. 과제 2 : 시장기반 수요 효율화
- 에너지 수요 효율화를 시장기반으로 적극 추진하고, 경쟁과 시장원칙에 기반한 에너지 시장구조 확립 추진
- PPA(전력구매계약) 허용범위 확대 등을 통해 한전 독점판매 구조를 점진적으로 개방하고, 다양한 수요관리 서비스 기업을 육성
- 전기위원회의 독립성·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인력을 강화하고, 전기요금의 원가주의 요금원칙을 확립
4. 과제 3 : 신성장 동력으로서 에너지산업
- 원전산업 생태계를 복원하여 수출 산업화하고, 태양광‧풍력‧수소 등 에너지를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
-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가능한 조기재개하고, 원전수출 추진단을 신설하여 원전 10기 수주를 목표로 극적 활동 전개
- 재생에너지를 산업경쟁력을 감안하여 보급을 추진하고, 태양광, 풍력 등에 대한 R&D 및 증 확대로 재생e 산업경쟁력 강화
5. 과제 4 : 튼튼한 자원안보
- 자원안보 범위를 핵심 광물까지 포함한 개념으로 확대하고, 새로운 민관협력 자원안보체계 및 법제도 구축
- 국가자원안보 컨트롤타워 마련 및 조기경보‧위기대응체계 구축
- 민간 자원확보 리스크 완화를 위한 공기업 - 민간 - 정부의 협력 강화
6. 과제 5 : 따뜻한 에너지전환
- 저소득층에 대한 에너지 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일자리와 지역경제 고려하여 석탄발전 감축을 추진
- 에너지바우처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필수전력(年 2,500kWh 이상) 지원
- 보상원칙 하, 시장원리를 활용한 석탄발전의 질서있는 감축 유도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 발표
- 정책자료 다운로드
요약
1. 과제 3 : 탈원전 정책 폐기, 원자력산업 생태계 강화 (산업부)
- 에너지 안보 및 탄소중립 수단으로 원전을 적극 활용하고, 원전 생태계 경쟁력 강화, 한미 원전동맹 강화 및 수출을 통해 원전 최강국 도약
- 신한울 3,4호기의 건설을 조속 재개, 안전성을 전제로 운영허가 만료원전의 계속운전 등으로 ’30년의 원전 비중을 상향
- 독자 SMR 노형 개발 및 제4세대 원자로, 핵융합, 원전연계 수소생산 등 미래 원전기술 확보를 위한 R&D 집중 추진
2. 과제 21 : 에너지안보 확립과 에너지 新산업‧新시장 창출 (산업부)
-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자원무기화 확산 등 글로벌 자원수급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에너지 안보 확립
- 에너지수요관리 혁신과 함께 재생e, 수소 등 다양한 에너지원의 확대를 통해 에너지자급률 제고 및 산업‧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활용
- 원전, 재생에너지 조화 등을 고려, 에너지믹스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에너지‧산업‧수송부문 NDC 달성방안 수정
3. 과제 86 : 과학적인 탄소중립 이행방안 마련으로 녹색경제 전환 (환경부)
- 글로벌 탈탄소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탄소중립 정책 추진
- 녹색산업·기술을 기반으로 녹색투자와 소비를 촉진하는 경제 생태계 조성
- 2030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는 준수하되, 부문별로 현실적 감축수단을 마련하여 법정 국가계획에 반영(∼’23.3월)
4. 과제 88 : 미세먼지 걱정없는 푸른 하늘 (환경부)
-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으로 국민 건강피해 예방 및 푸른 하늘 복원
- 초미세먼지 30% 감축 로드맵 마련을 위해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재수립(‘22년)
- 계절관리제 시행기간 확대 검토, 고농도 예보 조기제공(12시간 전→2일 전 예보) 및 고농도 시기 석탄발전 감축 확대
5. 과제 89 : 재활용을 통한 순환경제 완성 (환경부)
- 대량생산-폐기로 이어지는 선형경제를 벗어나, 생산․유통․소비․재활용 전과정에서 폐기물 감량 및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확대하는 순환경제로 전환
-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자원낭비 및 폐기물 발생 감축
- 불편은 줄이고 재활용 효과는 높이는 회수·선별 고도화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
요약
1. 2050 탄소중립 비전과 이행체계
- 2050 탄소중립 비전을 명시하고 중장기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40%로 명시하고 법률에서 35% 이상의 범위에서 중장기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정하도록 위임
-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국가 전체와 지역 단위까지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점검하도록 하는 등 탄소중립 이행체계 확립
2. 온실가스 감축
- 국가 주요계획과 대규모 개발사업, 국가재정 전반에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는 ‘온실가스감축인지예산’과 ‘기후변화영향평가’가 도입
- 탄소중립 도시의 지정, 녹색교통의 활성화, 탄소흡수원 확충 등 부처별로 특화된 감축정책 추진 근거 마련
3. 기후위기 적응 및 정의로운 전환, 녹색성장
-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 변화를 상시 측정, 조사, 및 공개하고, 기후위기 감시·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상정보관리체계 구축
- 기후위기가 생태계, 대기, 물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평가하기 위한 기후위기적응 정보관리체계 구축·운영
4. 탄소중립 재정 및 실천기반
- 탄소중립 정책의 안정적 추진과 산업구조 개편 등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한 ‘기후대응기금’을 신설하여 2022년 1월부터 운영 중
- 지역사회와 국민 생활 속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생활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실천기반인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가 법정 조직으로 새롭게 구성
- 지역 기반의 탄소중립 모델을 발굴·확산할 전문기관으로서 ‘탄소중립 지원센터’도 설립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안 체계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안)
요약
1. 실현가능하고 합리적인 에너지 믹스의 재정립
- 에너지 믹스는 실현가능성, 국민 수용성, 국내 산업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구체화
- 재정립된 에너지 믹스는 NDC 달성 방안 등 온실가스 감축방안에 반영
2. 튼튼한 자원·에너지 안보 확립
- 새로운 자원안보체계를 구축하고 全주기적 에너지공급망 강화, 민간중심의 해외자원개발 산업생태계 회복 추진
3. 시장원리에 기반한 에너지 수요 효율화 및 시장구조 확립
- 에너지 공급 중심에서 수요효율화 중심으로 정책 전환 추진 및 최근 여건변화를 감안하여 시장원리에 따른 전력 시장구조 확립
4. 에너지 新산업의 수출산업화 및 성장동력화
- 원전산업 생태계를 복원하여 수출 산업화하고, 규제혁신을 통해 수소, 태양광‧풍력 등 에너지 新산업을 성장동력으로 육성
5. 에너지 복지 및 에너지정책의 수용성 강화
- 에너지 취약계층 보호를 강화하고, 주민‧지역 기반의 에너지 정책을 확대하여 에너지정책 전반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제고
비전과 목표
탄소중립 녹색성장 추진전략
요약
1. 추진배경
- IPCC, WMO 등 국제과학기구에서는 기온·해수면 상승 등 급격히 진행되는 기후위기 엄중 경고
- 탄소중립은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으로의 전환을 위한 거스를 수 없는 새로운 경제질서로 국제적 뉴-노멀로 자리매김
2. 국제동향
-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에너지시장 불확실성 증대로 세계는 에너지전환과 함께 에너지안보 확보를 위한 이중 부담
- 기후위기 대응과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 가속화를 위해 기존 전략을 전면 수정한 新 탄소중립 추진전략 연이어 발표
3. 국내현황
- 2050 탄소중립 목표 설정 및 중간목표인 2030 NDC를 상향하고, 탄소중립기본법 제정 등 이행기반 마련
- ‘20년 탄소중립 선언 이후 단기간 내 압축적 논의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와의 공감대 형성 미흡 및 실현가능성 미비
4. 정책 추진방향
- ①구체적이고 실행력 있는 온실가스 감축 이행 로드맵 마련 및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Master Plan) 수립
- ②정부주도에서 벗어나 민간‧지자체 주도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소통강화 및 협력체계 마련
- ③원전과 재생에너지의 조화 등 균형잡힌 에너지 믹스에 근거한 합리적인 온실가스 감축
- ④투명하고 체계적인 상시 이행관리시스템 및 범부처 통합 지원체계 구축
기존에는 (AS-IS) | 앞으로 (TO-BE) | |
---|---|---|
거시 목표 | 단계별 목표 | |
실행방안 미흡 | 실행방안 구체화 | |
정부주도 Top-down | 민간·지자체와 함께 소통강화 | |
원전 배제, 비현실적 에너지 정책 | 원전+재생e 균형 잡힌 에너지믹스 | |
형식적 이행점검 | 투명하고 체계적인 이행 점검체계 구축 | |
부처 산발적 인허가 | 범부처 통합지원체계 구축 |
5. 추진체계 및 향후계획
- ①추진체계 :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중심) + 중앙 + 지자체 → 상설협의체 발족·운영
- ②향후계획 : 국가기본계획(’23년 3월) 수립 + 이행점검(매년) → NDC·탄소중립 실현
전략 주요내용
1. (비전) 탄소중립, 글로벌 중추국가로의 도약
2. (3대 정책방향)
- 책임 있는 실천
- 질서 있는 전환
- 혁시주도 탄소중립·녹색성장
3. (4대 전략)
- 구체적·효율적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책임감 있는 탄소중립
- 민간이 이끌어가는 혁신적인 탄소중립·녹색성장
- 모든 사회구성원의 공감과 협력을 통해 함께하는 탄소중립
- 기후위기 적응과 국제사회를 주도하는 능동적인 탄소중립
비전과 목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 전략
요약
1. 추진배경
-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20.10)하고,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도 상향하는 등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 동참
- 철강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 많은 제조업 기반 경제, 재생 에너지 제반이 불리한 환경 등 탄소중립은 우리에게 도전적인 과제
- 특히 선진국과 비교하여 탄소 배출정점 시기가 늦은 우리나라는 탄소중립 기한이 촉박
- 성공적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돌파구는 과학기술의 혁신
2. 국내외동향
- 탄소중립 新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 경쟁 치열
- 우리나라는 불리한 재생에너지 보급 제반환경, 고탄소 산업 구조, 짧은 준비기간 등 탄소중립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
3. 추진방향
- 국내 여건 고려, 국가 차원에서 탄소중립 R&D 규모 확대, 조망한 全분야 기술 혁신 필수
기존에는 (AS-IS) | 앞으로 (TO-BE) | |
---|---|---|
기술의 임무 모호 / 정부 주도 | 임무 중심의 기술 선정 / 민간 주도 | |
경직적인 R&D 운영 시스템 (부처별 예산 배분, 예타 기간 장기화 등) |
신속 유연한 R&D 시스템 (분야별 예산 배분, 예타 Fast track, 국제협력 활용) |
|
단일 부처 중심의 기술 개발 추진 체계 | 기술 실현(실증·사업화)까지 고려한 범부처 협업 지원 체계 강화 |
향후 추진일정
전략 주요내용
탄소중립 시대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친환경 바이오연료 확대 방안
요약
1. 바이오연료란?
- (정의) 화석연료로 만들지 않고, 석유제품과 화학적으로 유사하며, 기존 내연기관·인프라의 구조변경 없이 사용가능한 친환경 연료
- (종류) 바이오디젤(경유를 대체), 바이오에탄올(휘발유 대체), 바이오가스(천연가스 대체) 등 원료·공정 및 용도별 특성에 따라 분류
- (원료) 1~3세대 원료로 구분되며, 3세대로 갈수록 탄소저감 효과는 크나, 원료 확보가 어렵거나 관련 기술이 기초단계 수준
2. 추진배경
- 전 세계 바이오연료 시장은 ’50년까지 2배 이상 증가하며, 특히 항공·해운은 친환경 연료 수요가 약 3~4.5배로 대폭 증가 전망
*전 세계 바이오연료 수요(IHS Markit) : (’20) 2.15백만B/D → (’50) 4.59백만B/D
- 주요 선진국과 글로벌 기업들은 친환경 바이오연료 시장 선점을 위해 대규모 기술개발 및 생산시설 구축 등에 적극 투자 중
- 석유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구조를 감안할 시, 바이오연료 보급·사용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석유수요 대체 및 에너지안보 제고 가능
3. 국내 여건 및 평가
- (시장) 국내 바이오연료시장은 성장 추세이나, 전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로 미미(’20년, 생산량 기준)
- (법령) 「석유사업법」은 일부 친환경 바이오연료(석유대체연료)를 규정하고 있으나, 새로운 바이오연료 도입을 위해서 대상 확대 필요
- (제도) 바이오연료에 대한 유통규제에 비해 국내 보급 활성화 및 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적 지원은 상대적으로 부족
- (기술) 국내 바이오연료 생산기술은 최고기술 보유국(미국) 대비 83.5% 수준(기술격차 4.5년)으로, EU·일본에 비해서도 열세(’20년 녹색기술센터)
- (원료) 바이오디젤·중유의 주원료인 동·식물성 유지의 국산화율은 31%(’16~’21년 평균)이며, 해외원료(69%)는 대부분 인니·말련에서 수입
4. 정책 추진방향
주요 후속조치 일정(안)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
요약
1. 이차전지 산업 현황
- 높은 기술력과 양산 능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우월적 지위 확보
2.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
- (비전) ’30년 이차전지 세계 최강국
- (목표) 글로벌 규제, 광물수급 리스크 대응 위한 안정적 공급망 확보
본원적 기술력 확보로 첨단기술 혁신허브(Mother Factory) 구축
우리 산업의 지속 성장을 뒷받침할 건실한 국내 생태계 조성 - (과제) 배터리 핵심광물 확보를 위해 ‘배터리 얼라이언스’를 구축한다.
지속가능한 배터리 순환체계(를 구축한다.
대한민국을 첨단기술 혁신과 R&D의 중심지로 조성한다.
민간의 국내 투자를 전 방위로 지원한다.
건실한 국내 산업생태계 기반을 다진다.
주요내용
에너지 환경 변화에 따른 재생에너지 정책 개선방안
요약
1. 정책현황
- 「재생에너지 3020」(’17.12) 수립 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주력
- 설비보급 확대, 발전비중 상승, 비용하락 등 소기 성과 창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NDC 수립과정에서 목표 대폭 상향(’21년 10월)
2. 정책평가
- 재생에너지 보급은 확대되었으나, 무질서한 보급으로 부작용 발생
- 지속가능한 정책 추진을 위해 1)계획적 보급 방향 정립, 2)계통 및 주민 수용성 확보, 3)사업 관리감독 강화, 4)산업 경쟁력 강화 필요
3.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
추진 일정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 개최 및 세부 실행방안 발표
요약
1.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 개최
- 일시 : 2022년 11월 9일 수요일
- 장소 : 롯데호텔 서울
- 안건 : 새 정부 출범 후 첫 번째로 개최된 위원회. 수소산업 본격 성장을 위한 새로운 수소경제 정책방향을 발표하고 논의함
2. 수소경제 정책방향
- 그간 수소정책은 수소승용차, 발전용 연료전지 등 일부 활용 분야로 국한되어 생산, 저장, 운송 분야 등의 산업경쟁력이 선진국과 격차가 있었음.
- 새 정부는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및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이라는 국정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소경제 정책방향을 금번 위원회에서 발표
세부 실행방안
1.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산업부)
- 대규모의 수소 수요 창출과, 그에 맞는 인프라·제도를 구축하여 수소 생태계 확장
2.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 전략」 (산업부)
- 7大 전략분야 육성, 규제완화를 통해 핵심기술확보·수출산업화 추진
3. 「수소기술 미래전략」(과기정통부)
-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등 수소분야 초격차 기술 확보 추진
주요내용
1. 달라지는 수소 생태계
2. 수소산업 7대 분야 기술개발 목표 및 수출전략
3. 수소기술 국산화 및 확보를 위한 목표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 발표
요약
1. 수립배경
- 기후변화에 따라 자연과 인간에 대한 전방위적인 기후문제가 발생하고, 탄소관련 규제로 기업의 부담 증가
- 2015년 신기후체제로 파리협정을 채택하고, 전 세계 139개국은 탄소중립 선언 및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 추진
- 우리나라는 글로벌 규약에 적극 대응하고, 탄소중립을 이행하기 위한 정책 및 R&D 전략 등 수립 중
2. 의의
- 향후 10년간 각 부처의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 연구개발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본계획
- 기후변화대응 기술* 분야에서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탄소중립‧에너지‧환경 등 관련 기본계획과 연계성 확보
*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기술과 기후변화 적응에 기여하는 기술(기후기술법 제2조 6)
3. 비전 및 추진 방향
주요내용
1. 전략① 온실가스 감축
2. 전략② 기후변화 적응
3. 전략③ 기후변화대응 혁신생태계 조성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요약
1. 추진배경
- 전력 소비량과 최대 전력 수요 증가 추세
- 재생에너지 비중 증가로 단기 전력수급 관리 불확실성 증대
- 안정적 전력수급 관리를 위해 태양광발전 증가, 전기화 수요, 에너지안보 등의 정책환경 변화를 계획 수립 시 반영 필요
2. 수립방향
- 에너지안보를 위해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
- 경제성(비용효율성), 환경성(온실가스 감축), 안전성 등을 함께 고려
- 전력망 보강, 전력시장 개편 등 전력수급 기반 강화
주요내용
1. 발전원별 정책방향
- (원전)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무탄소 전원인 원전 적극 활용
- (신재생) 실현가능한 수준, 비용효율적, 계통 및 주민수용성 기반, 국내 산업 발전하는 정책 추진
- (석탄) 노후 석탄발전 감축 지속과 기존 설비 좌초자산化 방지
- (LNG) LNG 수소혼소 발전 및 공익성 높은 노후 LNG 변경 인·허가
2. 기대효과
- (온실가스) ’18년 269.6백만 톤 대비 44.4% 감축 전망
- (미세먼지) ’21년 1.4만 톤 대비 ’30년 53%, ‘36년 68% 감축 전망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 마련
- 보도자료 보러가기
요약
1. 국제해사기구(IMO)
- 항로와 교통규칙, 항만시설 등을 국제적으로 통일하고 선박의 안전과 보안, 선박에 의한 해양 및 대기 오염 방지를 책임지는 유엔 전문 기구
- 국제해운 분야 탄소감축 목표와 이행방안은 국제해사기구에서 따로 정함
2. 추진배경
- 온실가스 규제에도 불구하고 해상물동량 증가 등으로 인해 국제해운 탄소 배출량 증가
- 국제해운 탄소배출 감축목표 상향 및 탄소부담금 제도 등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
-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기후 모범국가로서 국제해운 탈탄소를 주도하기 위함